을목이 만나는 천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와의 희로애락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을목은 하늘의 10천간에서 갑에 비하면 연약하나 자기주장이 강해 보이지는 않지만 생명력이 강하여 갑목이 있으면 갑목을 타고 올라가서 꽃을 피우고, 한여름 쩍쩍 갈라지는 未토와 한겨울 얼어붙은 축토도 제어하며 , 火의 뒷배를 믿고 금의 기세도 두려워하지 않는 , 어려운 상황을 오히려 잘 이용하여 자기의 이점을 챙기는 똑똑한 을목입니다.
을목(乙木)이 만나게 되는 천간 甲목과 乙목
乙+甲
을목이 갑목을 만나면 을목은 갑목을 이용하여 자기의 실속을 챙기게 됩니다. 키도 크로 훤칠한 감목에 의지하여 착 달라붙어 의지하여 살아가지만 정작 정상에 이르면 갑목을 무시합니다.
乙+乙
을끼리 나란히 서서 있으면 결국에 서로 경쟁하는 꼴리 되며 을목일간이 신약 한 사주라면 도움이 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넝쿨들이 서로 얽히고설켜서 말이 많고 복잡하고 시끄러운 형국이 됩니다.
乙+乙+乙
을이 3개인 경우 예능에 친출하면 좋으며 꽃 만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어 선망의 대상이 되면 관직으로 진출하면 명예를 얻고 두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을목(乙木)이 만나게 되는 천간 丙화와 丁화
乙+丙
을이 병화를 보면 화초가 하늘의 해를 본 것과 같으므로 머리를 들고 높은 곳을 오르고자 하는 기세가 생기므로 병화가 을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을목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좋은 관계가 됩니다.
乙+丁
을목이 정화를 만나면 서로 반갑지가 않습니다. 정화는 수분이 많은 화초를 태울려니 눈에서 눈물이 나고, 화초는 병화와 달리 자신을 불로 그을리는 정화가 두렵습니다. 그러나 한 추은 겨울의 을목이라면 정화가 따뜻한 하우스가 도여주느여 을목을 온실 안의 화초로 만들어 줍니다. 을목 또한 가을의 말라버린 화초라면 적게나마 정화의 연료가 될 수가 있습니다.
을목(乙木)이 만나게 되는 천간 戊토와 己토
乙+戊
을목이 무토를 만나면 높은 산에 화초이니 깊고 높은 산에 사람들이 화초 하나를 바라보고 오지를 않을 것입니다. 외롭도 고독하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힘듭니다. 그래도 겨울에는 든든한 산이 있어서 찬 겨울의 칼바람을 막아줍니다.
乙+己
을목이 기토를 만나면 집 앞터전에 심어놓은 야채나 화초가 되며 병화가 같이 있어주면 햇살을 머금고 무럭무럭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을목이 만나게 되는 천간 庚금과 辛금
乙+庚
을목이 경금을 만나면 우람지고 멋진 경금에 매력을 느끼지만 한편으로는 경금이 기세에 두려움이 앞서서 자신의 의지르 펼치기 어렵습니다.
乙+辛
을목이 신금을 만나면 낫으로 꽃을 잘라버린 격이니 자신의 기가 꺾여버려 주관을 펼치기 어렵습니다.
을목이 만나게 되는 천간 壬수와 癸수
乙+壬
을목이 임수를 만나면 큰 물에 뿌리가 빠져 떠나려 가는 부초가 되므로 이럴 땐 사주팔자 중에 든든한 戊토가 있어서 물길을 막아주면 좋습니다.
乙+癸
을목이 계수를 만나면 생기를 얻지만 한편으로는 병화를 계수가 구름이 되어 가려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때는 병화가 사주에 있더라고 계수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좋습니다.
위 내용은 오로지 을목과 각 천간들의 만남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경우를 간단히 적은 것으로 사주원국에 같은 만남이 있다고 하여 꼭 같지는 아니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는 사주팔자와 년운 , 월운, 형, 충 , 합 등을 배제하는 경우입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丁火)가 만나게 되는 천간들과의 관계 (0) | 2023.01.07 |
---|---|
병화(丙火)가 만나게 되는 천간들과의 관계 (0) | 2023.01.07 |
갑목(甲木)이 만나게 되는 천간들과의 관계 (0) | 2023.01.07 |
월별 정화일간 (0) | 2022.12.26 |
정축일주의 특징들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