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월별 정화일간

by 소통하다 2022. 12. 26.
반응형

 

 

1년 12개월 월별 정화일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정화일간은 머니머니해도 사주에 금이 있어야 할 일이 있는 사람이 됩니다.  사주에 없어도 년운이나 대운에서 그리고 월운에서 들어오지만 그래도 내 사주에 척하고 앉아있는 것이 마음이 안정이 됩니다. 거기에 정화의 연료가 되어주는 목이 뒷받침을 해주고 뿌리가 되는 술토나  사, 오, 미가 있으면 세상 부러운 것이 없을 것입니다. 물론 사주원국에 따라 형, 충, 합이 오면 이야기는 당연히 달라지기는 합니다.  

 

 

寅월의 丁火 (초 봄)

□       □     □

□    □    寅    □

 

인월의 정화는  나를 위해  모든 것을 헌신하고  있는 어머니가 항상 옆에서 나를 응원해주고 지켜주는 모습입니다. 寅의 지장간 무병갑( 戊 丙 甲) 중에 戊토는 정화가 水에  침범에 불씨가 꺼지지 않게 바운다리를 쳐주며, 丙은 겁재로 하늘에 있는 火이지만 丁火의 기운이 약해질 때  힘이 되여주고 이득이 생길  대가를  받아갑니다.  병화가 태양으로 정화 용광로는 태양 앞에서 아무런 존재가 없어지긴 하나 힘들 때 급한 데로 병화인 태양의 힘을 빌러서 일단 현상을 유지하는 것이 우선대책이 된다. 일단 살아남아야 후일을 다시 기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甲은 정화의 불씨가 꺼지지 않게 항상 연료가 되어주는 힘의 원천이기도힙니다. 

 

 

卯월 丁火(봄)

 

□   丁    □     □

□    □       □

 

인묘진월의 정화는 목을 키울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그 가치가 매겨집니다. 묘월의  목의 기운이 제일 왕성한 제왕이  되는 계절입니다. 묘목의 지장간은 갑, 을 (甲, 乙)로 갑은 인의 지장간 속의 갑과 같은 작용으로 정화가 계속 타오를 수 있도록 정화의 연료로 쓰입니다.  물론 을목도 목이 긴 하지만 정화의 연료로 쓰기에는 불편한 목입니다. 젖은 나무를 태우는 정화의 눈에서 눈물이 마를 날이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기묘( 己卯) 월에 태어났다고 하면 부친의 성에 앉아있는 기토(己土)는 묘목이 뿌리를 내려 잘 자랄 수 있게는 하지만 정화의 입장에서는 수분을 가지고 있는 습토 - 기토가 탐탁지가 않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습토인 기토가 정화의 옆자리에 앉아서 화의 열기를 다 빨아드리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기토는 정화의 생명줄이고 힘의 원천인 갑목을 보면 합을 하여  정화의 식량을 낚아채어버리기까지 합니다. 따라서 부친 성인 월간에 기토가 있으면 아버지의 덕을 보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그러나  사주 원국에 정화의 힘이 강하거나 기토의 습기가 작용을 할 수 없는 요소들이 있다면 이야기는 또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辰월 丁火(늦 봄)

     □    □

□    □       □

 

진월의 정화 역시 봄의 화기이므로 아직은 차가은 기운이 있어서 목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진월의 지장간은 을 ,계 ,무 (乙 癸 戊)로 을은 정화의 편인으로 새엄마이다. 계수는 정화의 편관으로 하늘에서 내리는 눈개비와 같아 정화의 불씨를 위태롭게 한다. 또한 편관으로 남편이긴 하나 따뜻하고 배려심이 있는 정관 남편과는 다른 난폭한 성향을 가진다. 무토는 정화에게 있어서 상관으로 활달하고 개성 있는 자녀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말썽을 피우는 자녀가 될 수도 있다.  진토는  지장간에 계수를 간직하고 있으며 물의 창고라고도 한다. 진월의 갑목은 갑진월이므로 목이 비옥한 진토에 뿌리를 내리는 서로서로 반기는 형국이다. 만약 여기에서 진이 하나가 더 있다고 하면 물을 너무 과하게 먹은 목이므로 이럴 때 목은 습목- 물기를 너무 많이 먹은 목이므로 정화의 연료로 쓰긴에 역시 정화의 눈에 눈물 나게 하는 일이 된다.

 

 

巳월  丁火(초 여름)

     □    □

□    □    巳    □

 

드디어 사월이 등장하고 여름이 시작되면  만천하를 호령하던 木이 쓸쓸히 왕관을 火에게 넘기고 보좌에서 내려옵니다.  제왕이  된 화는 이제 사, 오, 미월-  3개월 동안 대통령 임기를 시작을 합니다. 기세가 하늘을 치솟는 정화는  자신의 심복인 지지 巳화와 손잡고  임기의 시작을 전국에 선포합니다. 사월의 지장간 무, 병, 갑 (戊, 庚, 甲)은 각각 임무를 부여받게 됩니다. 무는 건조한 흙으로 水가 많은 정화일간의 사주에서 무토가 천간에 있으면 사 주 내의 수기를 흡수하고 정화를 지켜주는 수호신이 되어줍니다 그러나 水가 없는 건조한 일간에겐 년운이나 대운에서 오는 소중한 물줄기를 가로막아 오히려 기회를 놓지게 합니다.  정화일간이 경금이 천간에 있으면  가지가 많이 자란 화초들의 곁 가지를 잘라주고 목의 뿌리에 흙도 덮어주어 튼튼하게 자라게 하지만 사주원국에 경금이 많은 일주라면 木을 잘라버리는 칼이 되여 오히려 해를 입힙니다.  병화는 정화와  함께 여름ㅡ 화의 주인으로 건조한 열기가 많은 사주들은  더욱 힘들어지여지지에 있거나 대운, 년운, 월운이라도 亥, 者水와 습토濕土인 辰과 丑은 불난 집의 119가 되어줍니다.  사오미월의 정화일간에 사주에 화기가 많으면 인기가 있기 어렵습니다. 더운 날씨에 모닥불 곁에 가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午월  丁火(여름)

 

     □    □

□    □       □

화의 절정기에 오른 정화의 힘은 가히 하늘을 찌를 태세입니다. 오화는  너무 뜨거워 사람들이 움직이기 힘들어하는 시간대인 아침 11시 반에서 1시반 사이의 열기입니다. 열기가 너무 강한 오월의 정화에게 덥다고 무조건 물만 가져다준다고 해서 열기나 화세가 가라앉지 않습니다 이때는 119인 진토와 얼음 땅인 축토가 제대로 된 처방전입니다. 다음에 물을 대여주어야 木이 화상을 입지 않습니다. 오화의 지장간은 丙 己 丁으로 병이 천간에 있으면 열기가 더 가세하는 것이고 기토가 천간에 있으면 화기를 좀 줄어들 수 는 있으나 이도 곧 열기에 건토가 되여버리기 십상입니다. 천간에 정화가 하나 더 있으면 정화의 힘이 배가 됩니다. 천간이  뜨거워도 지지에 물이 충분하고 온도가 잘 맞으면 木은 잘 자라게 되여있습니다. 여름의 정화일주는 진토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큰 복주머니를 차고 있는거나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未월  丁火(늦 여름)

 

     □    □

□    □        □

 

1시반에서 3시 반사이가 미월의 정화입니다. 미월의 삼복더위라고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가을 기운인 금이 슬그머니 왔다가 몸이 다 녹아내릴 것 같아서 다시 돌아갔다고 또 한 번 오는 데 이것을 중복이라고 하며 세 번째에도 여름인 화기를 쫓아내지 못하고 엎드려서 기여 갔다고 하여 삼복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아직 성격 급한 가을의 금을 사뿐히 밟아주고 화는 만물을 을 열기로 태우고 땅을 갈라 터지게 합니다. 미월의 미토는 지장간에 丁 乙 己 가 내장되어 있는데 정화는 자신의 계절이라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고 을목은 메말라서 숨이 넘어갈 지경입니다. 사주원국에 경금이 하나 있으면 을목의 곁가지르 쳐주어 감 벌을 하고 물의 창고인 진토 하나만 지지에 있어도 열기는 많이 가라앉습니다. 

 

 

申월  丁火(초 가을)

 

     □    □

□    □       □

 

가을은 금의 계절입니다. 만천하의 백성들은 이제부터 금의 통치아래 살아가야 합니다.  금 정권은 신, 유, 술( 申 , 酉, 戌)

의 일군들과 함께 가을의 상징인 金의 천하를 만들어 갈려고 합니다. 미월에 일찍 급습을 하였으나 보기 좋게 밀려난 금이 이제 사지를 펴고 자기 세상을 만끽합니다. 여름이 떠나간 자리에는 이제 엄마를 잃어버린  정화만 덩그러나 남아있습니다. 이젠  코앞에 정재인 申금이 있어도, 돈이 정화의 눈앞에서 알랑알랑 거려도,  손만 뻗으면 저 돈을 내 주머니에 넣을 수가 있을 것 같은데도 애석하게도 힘이 모자랍니다. 신금의 지장간에는 戊 壬 庚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수의 기운을 흡수하고 물길을 가로막아 조열 한 일주들의 미움을 받았던 무토가 이제 인정을 받는 시기가 시작되어  이 인기는 적어도 봄이 되기까지 쭉 갈 것 같습니다.  수의 창고인 진토가  인기가 하늘으 찌르던 巳, 午, 未월의 시기는 이제 가고 신유술의 가을과 해자축의 겨울이 오면서 진토는 여기저기서 미움받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드디어 무토가 인정받는 시기가 온 것입니다  지장간 임수도 진토와 함께 봄과 여름에 잠깐 흥하고 말았습니다. 경금이 사주원국에 있다면 이는 정화의 정재로 안정적인 수입을 의미하며 가을 겨울 생 원국엔 미토나 술토 하나가 있어도 병이 호전될 수 있으며 巳火와 午火가 반갑습니다.

 

 

酉월  丁火(가을)

 

     □    □

□    □        □

 

유의 지장간은 경금 庚金과 신금辛金으로 오직 金들만이 모여서 사는 동네와 마찬가지입니다. 마치 박 씨들만 모여사는  경상도 밀양 등 지역들처럼 말입니다. 단지 금은  가공전의 원석인 경금인가,  아니면 가공 후의 보석인 다이아몬드인가의 차이일 뿐입니다. 유월의 정화는 죽어도 다시 한번 확인해봐야 하는 것이 정화는 기름단지 위의 촛불이므로 항생 기름이 샘물처럼 올라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월의 정화는 죽어도 죽은 것이 아닐 수도 있으니 잘 확인해봐야 한다는 말입니다. 갑목이나 뿌리를 내리지 못한 정화일간이라면 촛불의 기세가 세지 못하지만 생명력이 가늘고 길 수가 있습니다.  유월 역시 화의 기운이 꺾이고 시간으로 치면 유시는 하늘의 해가 지고 전기를 켜는 시간대로 병화와 정화가 바통터치를 하는 시간대이기도 합니다. 여름의 정화는 상징적으로 여름에 피워놓은 모닥불로 사람들이 피해다고 기피하는 상대이지만 유월의 정화는 이제부터 사람들한테 인정받는 시기입니다. 마치 물이 여름이 인기가 많은 것처럼 말입니다. 유시가 해가 지니 집집마다. 상가마다. 가로등도 모두 불이 켜지고 추우니 이제 조금씩 두꺼운 옷을 입어 체온을 조절하고 따뜻한 걸 찾기 시작합니다. 

 

 

 

戌월  丁火(늦 가을)

 

     □    □

□    □       □

 

 

술월의 정화는 정말 이제 추운 겨울로 가는 마지막 단계이므로 가을 겨울 일간에게 술토 하나만 있어도 걱정 없다고 합니다 지장간 辛, 丁, 戊에서 戊는 물의  침습에 대비하고 있고 丁화는 씨앗인 辛금을  자기의 체온으로 따뜻하게 덥혀줍니다. 또한 술토는 불의 창고이므로 신약 한 사주한테는 갑목과 함께 힘이 되는 원천이기도 합니다. 술월에는 목의 성장이 멈추는 시기이므로 나무 잎이 노랗게 단풍이 들고 산에 블도 잘 납니다. 목의 성장이 멈추어야 모든 영양분이 열매로 가서 그 열매가 통통하게 잘 익어서 목에서 떨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목이 죽어야 자기의 건실한 씨앗을 남길 수가 있으므로 가을은 숙살지기 ㅡ 죽어야 살 수 있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금을 계절엔 목을 키우기가 힘이 드는 계절입니다  가을 겨울의 정화일간은 화가 많으면 요직에서 중요한 일을 하며 인품이 좋고 언행이 일치하여 사람들이 믿고 따른다고 합니다.  이는  가을생이나 겨울생 모두 해당되며 추운 날씨에 사람들이 따뜻한 실내로 찾아드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亥월  丁火(초 겨울)

 

     □    □

□    □   亥    □

 

겨울이 시작되고 천하의 패권을 水가 장악을 하게 됩니다. 수의 계절에 태어난 겨울 생 정화일간은 대체로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은데요 그건 마치  따뜻한 모닥불  주위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비록 겨울을 상징하는 해월이긴 하지만 바닷속은 아직 따뜻하다고 합니다. 亥의 지장간은 戊 甲 壬은 임수를 중심으로 무토와 갑목이 해수를 이루는 구성원으로 되어있습니다. 정화일간이 사주에 해수가 두 개 있으면 정화의 불이 꺼지지 않을까 염려스러울 수도 있지만 지장간에 무토가 임수를 막아주고  갑목이 아직 온기가 있는 임수를 흡수하기 때문에 정화일간에게 가는 패해를 많이 제거해줄 수 있습니다. 

 

 

 

子월  丁火(겨울)

 

     □    □

□    □        □

 

냉수인 자수는 수생목을 할 수 없는 물입니다 이제는 바닷속까지 물이 차가워졌습니다. 자속의  지장간인 壬, 癸가 사주원국에 있으면  정화일간은 가슴속에  원망이 많이 생깁니다. 그도 그럴 것이 임수와 계수는 모두가 정화의  촛불을 끄려고 하는 수기이니 말입니다. 정화일간이 지지에 子자 두 개를 가지고 있으면 천간과 지지에 무토와 술토가 필요하고 화기도 필요합니다  만약 이렇게 다 되어있으면 좋지만 세상에 사주가 어디 그렇게 완벽한 팔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얼마나 될까요? 자수가 두 개인데 무토와 술토도 없으면 그때의 정화는 정화이기를 포기하고 수의 세력에 맞춰서 살아가는 것이 팔자를 거슬리지 않고 순리대로 사는 것입니다. 이를 명리학에서는 종격이라고 하며 자수 두 개가 이루는 물길이 아주 맑고 깨끗한 사주가 되는데 이런 사주에서 대학자들이 많이 탄생합니다. 경금이 있는 것은 물길을 더욱 깊고 깨끗하게 하지만 토가 있으면 맑을 물을 흐리기 때문에 좋지 않게 봅니다. 겨울철에 금수가 많은 일주는 수로 종하는 것이 훨씬 더 이득이 됩니다. 

 

 

 

丑월  丁火(늦 겨울)

 

     □     □

□    □    丑    □

 

축월의 정화는 이제 무덤 속으로 들어갑니다.  축의 지장간 癸, 辛, 己중에 계는 하늘의 구름이 되어 병화를 차단시켜버리고 정화와는 丁癸충을 하여 정화에게 크게 상처를 입힙니다. 辛은 丁辛충으로, 병화와는 丙辛합수를 하여버리고 기토 己는 습토로 丙火와 丁火로 불의 기운을 설기하고 병정화가 아끼고 아끼는 갑목을 甲己합으로 합을  해버립니다 이로써 정화는 손과 발이 다 묶이고 자신이 편이 되어줄 동기 하나도 옆에 없게 됩니다.   축월의 정화일간의 지지에  미토가 있다면  丑未충으로  축중의 계수를 제거해주어 정화에게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사주에 목이 많으면 겨울에 키우지도 못할 나무를 키우는 것으로 쓸데 없는 헛 고생만 하는 꼴이 되며 목극토를 하여 물을 막고 있는 땜이 무너지는 형국이 됩니다. 가을 겨울 생  정화는 무조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