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사화와 12지지들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여름의 시작을 삼라만상에 알리기 위하여 사화는 지장간 3인방에게 戊 일주일 ,庚 일주일, 丙16일씩 각각 임명 , 배정해주고 열기를 투사하게 됩니다.
4월 巳火와 12지지들과의 관계
巳+寅
4월의 사화가 인목을 보면 인목을 불태우기 위하여 달려듭니다 , 이때 화의 기운이 사주원국에서 충만하면 일간이 수로 인한 피해를 볼 수 있으며 8자중에 水가 없고 화기만 득세하면 이 火는 사고를 낼 불이 될 수 있으므로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인과 사가 만나서 寅巳형을 이루지만 인사형이 구성상 유기하면 권력계통에 출세하게 되거나 의류 쪽으로 일을 하게 됩니다.
巳+卯
4월의 사화가 인목을 만나면 목생화가 사실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목도 습한것이 있고 마른것이 있으며 썩은 것도 있습니다. 묘목은 지장간이 갑을이 있어 濕가 있는 묘목입니다. 그래서 묘목이 사화를 목생화 한다고 해도 일의 발전이 더디고 결과도 탐탁치가 않습니다
巳+辰
4월의 사화가 진토를 만나면 자신의 화기가 습토 진토에 의하여 약해집니다 , 사주가 화나 戌토 , 未토 등들이 많아서 조열하면 진토는 조열한 땅을 기세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지나 만약에 사주원국이 습한테 진토가 오면 이는 사화는 진토에게 힘을 빼앗기게 됩니다.
巳+巳
사화가 사화를 만나면 화의 기운이 치열해져 이때는 수로 다스리면 오히려 수화상충이 되여 불난 집에 불란만 일으키니 진토 , 축토가 와서 조요히 화의 화기를 빨이들이는 것이 일은 빨리 수습하는 방법입니다 결국은 辰토나 丑토가 사주원국에 있으면 좋습니다. 물론 사주가 원하는 것을 알면 진토가 좋은지 ,축토가 좋은지 더 자세히 구분할수 있게 됩니다.
巳+午
4월의 사화가 오화를 만났다는것은 초여름이 한여름을 만난것이니 화의 열기가 하늘을 찌르니 이때 천간에 화가 하나 나와 있는것이 좋습니다. 지지에서 화들이 모여서 하나의 세를 이루어 버리니 언제 어떻게 터질지 모르니 말입니다. 습토인 진토나 축토 그리고 금들이 눈치를 잘 파악해야 합니다.
巳+未
4월의 사화가 미토를 만나면 초여름의 화세가 삼복더위를 만난것이니 할 말이 없습니다. 데여서 죽고 싶은 사람은 다 나오라 입니다. 조열해지는 것은 말도 할 필요가 없어지고 수의 목숨이 위험합니다. 고갈될 지경입니다. 역시 진토 축토 수와 금이 필요합니다. 미토는 수가 없으면 생금도, 생목도 못합니다.
巳+申
4월의 사화가 신금을 만나면 화의 작용이 저조되고 사화와 신금의 지장간속의 경금 둘이서 신금의 지장간속의 임수를 생하기에 더 적극적입니다.
巳+酉
4월의 사화가 유금을 만나면 반합을 이루고 사화에겐 금을 녹일 일거리가 생긴 격으로 그동안 준비하고 계획한 것들을 추진하고 성사시키게 됩니다.
巳+戌
사화가 술토를 만나면 둘다 습기가 하나도 없는 불과 토입니다. 수기운이 없으니 원망하고 싫고 그리운 관계인 원진살과 촉이나 영감이 발달되여 예민해지는 귀문관살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巳+亥
4월의 화가 해수를 보면 그야말로 물불을 가리지 않고 싸우는 물과 불이 됩니다. 사화는 초여름이고 해수는 초겨울이라 모두 적극적이고 예민합니다. 그러나 해수와 싸움에서 초여름인 사화가 다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환경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巳+子
4월 화가 자수를 만나면 화의 기세가 자수를 꺾어도 남음이 있습니다. 사주원국에 있는 화와 수위 대세가 어느쪽으로 기우냐에 따라 喜희와 悲비가 달라집니다.
巳+丑
4월 화가 축토를 만나면 화생토가 되기보다는 오히려 언땅인 축토에 의해 설기를 당해 피해를 볼까 걱정됩니다. 사화가 또 축토를 보면 반합을 하여 매사가 성사되기 어럽고 발전이 더디고 설기로 인한 변화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어느 사주든간에 8자를 다 보아야 힘의 우세를 알수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未土와 12지지들과의 관계 (0) | 2023.01.11 |
---|---|
5월 午火와 12지지들과의 관계 (0) | 2023.01.11 |
2월 卯木 12地支들과의 관계 (0) | 2023.01.10 |
1월 寅木과 12地支들과의 관계 (0) | 2023.01.10 |
계수(癸水)가 만나가 되는 천간들과의 관계 (0) | 2023.01.09 |
댓글